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정치부 김철중 기자와 함께 조금 더 알아보겠습니다. <br><br>Q1. 김 기자, 지난 일요일 쇄신의총 때 김남국 의원을 윤리위에 제소하자고 한 내용이 결의문에서 빠졌다, 이게 왜 이렇게 논란이 되는 거에요? <br><br>네, 윤리위 제소 자체가 당이 김남국 의원의 잘못을 인정하느냐 마느냐 바로미터가 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비명계는 민주당이 직접 윤리위에 김 의원을 제소해 질못을 인정하고, '꼬리자르기'가 아니라는 걸 보여주자는 입장인데요. <br> <br>반면 앞서 보신 것처럼 이재명 대표를 비롯해 친명계는 진상파악이 안된 상황에서 잘못을 인정하고 징계하는데 부정적인 반응입니다. <br><br>Q2. 쇄신의총 때 의원들 윤리위 제소 의견이 많았던 건 맞아요? <br><br>지난 일요일 의원총회를 시간대 순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. <br><br>오후 4시부터 10시까지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약 30명의 의원들이 발언을 했는데요. <br> <br>김 의원을 윤리위에 제소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였던 걸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원내지도부는 의총 도중에 따로 모여 결의안 초안을 만들었고, 의총이 끝나기 전 의원들에게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그 초안에 김 의원에 대한 '윤리위 제소' 내용이 빠져 있었고요. <br> <br>의원들은 다시 결의문에 넣어야 한다는 의견을 냈지만 빼야한다는 엇갈린 의견도 있었다고 합니다. <br> <br>이 대표를 비롯해 지도부가 추가 논의를 해서 최종 결의문을 작성했는데, 윤리위 제소 부분은 끝내 포함되지 않았습니다.<br><br>Q3. 이재명 대표가 윤리위 제소를 결의문에 넣는 걸 빼자고 한 건 맞나요? <br><br>저희가 취재를 해보니 이 대표는 결의문 작성 과정에서 '진상조사가 먼저'라는 뜻을 내비쳤다고 합니다.<br> <br>진상조사 결과가 나온 뒤 그걸 바탕으로 징계를 논의해도 늦지 않는다는 논리입니다. <br><br>논란이 되자 민주당은 이 대표가 결정할 단계가 아니라 본 거지 반대한 건 아니라고 설명했는데요. <br> <br>비명계에서는 "나중에 결정하자는 것 자체가 사실상 반대"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.<br><br>Q4. 그런데 이제 와서 보면 탈당으로 진상조사 자체가 쉽지 않아진 상황 아닙니까? <br><br>맞습니다. <br><br>어제 검찰이 김 의원의 계좌에 대한 압수수색을 재개하면서 상황이 바뀌었습니다. <br> <br>민주당 핵심관계자는 채널A에 "검찰 수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진상조사를 계속할 수 있을지 고민스럽다"고 설명했는데요.<br> <br>검찰 수사가 시작된 만큼 김 의원이 자신의 방어권 차원에서라도 당의 조사에 협조할 가능성이 더 낮아졌다고 보는 겁니다. <br><br>진상조사단 관계자는 "김 의원이 현재 휴대전화를 꺼놔 연락도 잘 닿지 않는다"고 전했습니다.<br> <br>김 의원의 협조가 없다면 더 이상 진상조사가 무의미한 만큼 진상조사는 중단될 가능성이 큰데요. <br> <br>만약 중단된다면 '진상조사 후 윤리위 제소'라는 지도부의 명분은 사라지게 됩니다. <br><br>Q5. 그럼 결국 국회 윤리위 제소만 남은 셈인데, 민주당은 공동 징계에는 반대했더군요? <br><br>네, 아직까지 민주당은 김남국 의원 징계에 찬성할지 명확한 답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오늘 윤리특위에서 국민의힘이 여야 공동징계안 제출을 제안했지만 민주당은 즉답을 피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당내에서는 그것마저 피하기는 어렵다는 의견들이 많습니다. <br> <br>당 핵심관계자는 "진상조사가 중단되면 국회 차원의 논의라도 해야하지 않겠냐" 고 전했습니다.<br> <br>다른 민주당 의원도 "상임위 회의 시간에 코인 거래를 한 것만으로도 징계를 피하긴 어렵지 않겠나"라고 전했는데요. <br><br>Q6. 징계도 수위가 있겠죠? <br><br>네. 일단 민주당이 나서지 않아도 국민의힘이 이미 제소한 만큼 징계 논의는 시작이 됩니다. <br> <br>국회 윤리위는 다른 상임위와 달리 여야 위원수가 같아서 합의 처리가 관행입니다. <br><br>징계 수위는 크게 4가지인데, 경고나 사과, 출석정지, 제명 가운데 하나를 결정하면 본회의 표결을 하게 됩니다.<br> <br>국민의힘은 직권 면직, 의원직 제명을 요구하고 있는데 민주당이 그 수위까지 받을지는 미지수입니다. <br> <br>가결 조건이 재적의원의 3분의 2 이상 찬성이기 때문에 민주당의 협조가 없다면 불가능합니다. <br><br>Q7. 비명계는 이재명 대표의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세게 몰아붙이던데요?<br> <br>네, 비명계는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부터 김남국 의원 코인 의혹까지 지도부의 미온적 대처가 결국 이재명 대표의 '리더십 리스크'를 불렀다며 몰아붙이고 있는데요.<br> <br>이 대표의 측근인 김 의원의 윤리위 제소 여부가 리더십의 시험대라고 압박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용우 / 더불어민주당 의원(SBS라디오 '김태현의 정치쇼') <br>"모든 걸 취할 수 없고, 거기에서 중요한 걸 선택하는 것들을 보여주는 게 지도자다움입니다. (윤리위 제소가) 이재명 대표의 지도력의 어떻게 발휘되는지 보여주는 시금석이 될 것입니다." <br> <br>이 대표는 비명계의 반발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는데요.<br> <br>친명계는 "늘 문제삼던 사람들이 똑같은 얘기했을 뿐이어서 당내 파장도 없다"고 일축하고 있어 당분간 민주당은 시끌시끌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내일 국회 윤리위 첫 공식 회의가 열리니 한 번 보죠.